‘짠맛’은 익숙하다. 하지만 건강은 그 익숙함에 무너진다.
우리의 식탁은 언제부터인가 소금에 길들여졌다. 국물 없이는 밥이 안 넘어가고, 자극적인 맛이 입안을 지배한다. 편리한 식품들은 맛의 풍요로움을 안겨주는 듯하지만, 그 이면에는 과도한 나트륨이 자리하고 있다. 우리가 매일 무심코 먹는 음식 속 ‘소금’이, 사실은 조용한 살인자라는 경고는 수년 전부터 전문가들이 반복해 온 이야기다.

숫자로 보는 위험: ‘소금 1g이 고혈압을 부른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성인 1일 나트륨 섭취 권장량을 2,000mg, 즉 소금 기준 약 5g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인의 하루 평균 섭취량은 약 3,500mg 이상으로, 기준치를 훌쩍 넘는다. 나트륨이 과잉되면 혈액 속 삼투압이 올라가고, 이는 혈관을 수축시키며 혈압을 상승시킨다. 고혈압은 침묵 속에서 진행되는 질환이며, 심장병, 뇌졸중, 신장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고령자, 당뇨 환자, 신장 질환자에게는 저염 식단이 선택이 아닌 필수다. 하지만 문제는 나트륨의 대부분이 우리가 직접 넣은 ‘소금’보다 가공식품, 외식, 소스류 등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섭취된다는 사실이다.
저염 식단은 ‘희생’이 아니다
많은 사람들은 ‘저염’이라는 말을 듣고 맛없고 심심한 식단을 떠올린다. 하지만 저염 식단은 오히려 자연 재료 본연의 풍미를 회복시키는 과정이기도 하다. 자극적인 양념을 줄이고, 제철 채소의 단맛, 식재료 고유의 감칠맛에 귀 기울이기 시작하면 미각은 서서히 ‘회복’된다. 특히 마늘, 생강, 허브, 식초, 레몬 같은 대체 풍미 재료는 저염 식단의 진정한 친구다.

현명한 저염 실천법
하루 세 끼 중 한 끼부터 시작하자
하루 중 한 끼라도 국물 없는 식단으로 구성해보고, 소금 대신 레몬즙이나 향신료로 맛을 내본다.
식품 라벨을 읽는 습관
나트륨 함량이 높은 식품은 ‘숨은 짠맛’의 원인이다. 제품 1회 제공량 기준으로 나트륨이 400mg 이상이라면 주의가 필요하다.
간을 하지 않고 먹는 연습
반찬은 싱겁게, 소스는 따로. 외식 시에도 “간을 약하게 해주세요”라는 요청은 당신의 혈관을 지키는 첫 걸음이다.
짠맛에 길들여진 입맛, 두 주만 참자
식습관 변화는 2~3주만 지나면 입맛이 바뀐다. 미각은 유연하다. 짠맛 없이도 맛있음을 느끼는 감각은 반드시 돌아온다.
짠맛보다 오래가는 건, 건강이다
식탁의 맛은 습관이다. 그리고 그 습관은 건강의 방향을 결정한다. 나트륨을 줄이는 일은 단순히 짜지 않게 먹는 것이 아니라, **몸을 위한 ‘침묵의 개혁’**이다. 그 개혁은 어렵지 않다. 하루 한 숟가락 덜 짜게, 하나의 포장 식품을 대신 생식재료로 바꾸는 것에서 시작된다.
당신의 혈관은 말이 없다. 하지만 분명히 반응한다.
짠맛의 유혹을 줄이는 것, 그것이 지금 당신의 몸이 가장 필요로 하는 변화일지도 모른다.
글 에스카사 편집부 / 사진 엔바토
‘짠맛’은 익숙하다. 하지만 건강은 그 익숙함에 무너진다.
우리의 식탁은 언제부터인가 소금에 길들여졌다. 국물 없이는 밥이 안 넘어가고, 자극적인 맛이 입안을 지배한다. 편리한 식품들은 맛의 풍요로움을 안겨주는 듯하지만, 그 이면에는 과도한 나트륨이 자리하고 있다. 우리가 매일 무심코 먹는 음식 속 ‘소금’이, 사실은 조용한 살인자라는 경고는 수년 전부터 전문가들이 반복해 온 이야기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성인 1일 나트륨 섭취 권장량을 2,000mg, 즉 소금 기준 약 5g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인의 하루 평균 섭취량은 약 3,500mg 이상으로, 기준치를 훌쩍 넘는다. 나트륨이 과잉되면 혈액 속 삼투압이 올라가고, 이는 혈관을 수축시키며 혈압을 상승시킨다. 고혈압은 침묵 속에서 진행되는 질환이며, 심장병, 뇌졸중, 신장 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고령자, 당뇨 환자, 신장 질환자에게는 저염 식단이 선택이 아닌 필수다. 하지만 문제는 나트륨의 대부분이 우리가 직접 넣은 ‘소금’보다 가공식품, 외식, 소스류 등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섭취된다는 사실이다.
많은 사람들은 ‘저염’이라는 말을 듣고 맛없고 심심한 식단을 떠올린다. 하지만 저염 식단은 오히려 자연 재료 본연의 풍미를 회복시키는 과정이기도 하다. 자극적인 양념을 줄이고, 제철 채소의 단맛, 식재료 고유의 감칠맛에 귀 기울이기 시작하면 미각은 서서히 ‘회복’된다. 특히 마늘, 생강, 허브, 식초, 레몬 같은 대체 풍미 재료는 저염 식단의 진정한 친구다.
현명한 저염 실천법
하루 세 끼 중 한 끼부터 시작하자
하루 중 한 끼라도 국물 없는 식단으로 구성해보고, 소금 대신 레몬즙이나 향신료로 맛을 내본다.
식품 라벨을 읽는 습관
나트륨 함량이 높은 식품은 ‘숨은 짠맛’의 원인이다. 제품 1회 제공량 기준으로 나트륨이 400mg 이상이라면 주의가 필요하다.
간을 하지 않고 먹는 연습
반찬은 싱겁게, 소스는 따로. 외식 시에도 “간을 약하게 해주세요”라는 요청은 당신의 혈관을 지키는 첫 걸음이다.
짠맛에 길들여진 입맛, 두 주만 참자
식습관 변화는 2~3주만 지나면 입맛이 바뀐다. 미각은 유연하다. 짠맛 없이도 맛있음을 느끼는 감각은 반드시 돌아온다.
짠맛보다 오래가는 건, 건강이다
식탁의 맛은 습관이다. 그리고 그 습관은 건강의 방향을 결정한다. 나트륨을 줄이는 일은 단순히 짜지 않게 먹는 것이 아니라, **몸을 위한 ‘침묵의 개혁’**이다. 그 개혁은 어렵지 않다. 하루 한 숟가락 덜 짜게, 하나의 포장 식품을 대신 생식재료로 바꾸는 것에서 시작된다.
글 에스카사 편집부 / 사진 엔바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