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어떤 최고의 기능성 화장품이 이슈가 되어도 한여름 뷰티 베스트 셀러는 언제나 선크림이다. 이처럼 매해 여름마다 점차 증가하는 선크림 판매량은 피부에 좋은 성분을 듬뿍 주는 것만큼이나 나쁜 성분을 막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증명해준다.
우리 피부의 ‘3대 적’은 무엇일까? 건조함과 영양 부족 그리고 자외선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자외선이다. 자외선은 기미는 물론 주름과 같은 피부 노화까지 불러온다. 이제껏 뜨거운 햇살이 내리쬐는 여름에만 선크림을 꺼내 들었다면, 지금부터는 자외선으로부터 내 피부를 사수하는 최고의 무기 ‘선크림’을 사계절 내내 생활화하자.

자외선 차단 지수, 높을수록 좋다?
자외선 차단제에는 저마다 다른 차단 지수가 숫자로 표기되어 있다. 수치로 표기할 수 있는 최대 자외선 차단지수는 50이며, 그 이상의 자외선 차단 지수는 ‘+’ 를 붙여 표기한다. 여기서 알아야 할 사실은 자외선 차단지수 즉, SPF가 50 이상으로 올라가도 차단 효과의 상승은 너무나 미미하다. 따라서 SPF 30이 피부를 손상시키는 자외선을 97% 차단한다면, SPF 50은 98%로 3%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SPF 50과 SPF 100의 차이는 겨우 1% 정도다. 그런데 소비자들은 숫자가 두 배로 높아지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두 배 높아진다는 오해를 할 수 있으므로 표시 제한을 둔 것이다. 그러니 어쩌다 SPF100이라 명시된 자외선 차단제를 발견해도 그 기능이 100% 완벽하다고 생각하고 구매할 필요는 없다.
자외선 차단 지수(SPF)란 무엇인가?
SPF를 정하는 기준은 어떤 제품이든 같다. 1cm²에 2mg의 양을 바른 후 홍반이 생기기 시작하는 시간을 측정해 SPF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지 않고 홍반이 생기는 걸 1이라고 한다면, SPF 30은 그 30배의 UVB를 쬐어야 홍반이 생기기 시작한다는 의미다. 실제로 이 정도 양을 얼굴 전체 면적에 바르려면 콩알 3개 분량인 700~900mg만큼 발라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 사람은 권장량의 25~50% 정도밖에 바르지 않는다. 게다가 아침에 한 번 바르고 온종일 덧바르지 않는다면 자외선 차단 효과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화장품을 여러 가지 종류를 바르게 되므로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한 제품을 선택해 여러 겹 바르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한 가지 제품을 쓰더라도 알맞은 수치를 적당량 사용하는 것이다.
자외선 차단제, 언제 그리고 어떻게 발라야 효과적일까?
자외선의 종류로는 UVA, UVB, UVC 이렇게 세 가지가 있다. 이 중 UVC는 지구의 오존층에 흡수돼 우리에게 도달하지 않지만, UVA는 90% 이상을 차지한, 이에 관한 차단 지수가 PA다. 특히 UVA는 장파장으로 피부 진피층까지 도달하며, 일 년 내내 일정하게 방출되기 때문에 흐린 날과 비 오는 날도 방심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UVB는 햇볕이 강한 여름이나 높은 산 등에서 높아진다. 이 때문에, 자외선 차단제를 사계절 내내 사용하면 가장 좋지만, 여름철에는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한 제품을 생활화해야만 한다. 또한, 자외선 차단제를 여러 겹 바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무엇보다 한 가지 제품을 쓰더라도 알맞은 수치를 적당량 사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글 에스카사 편집부 / 사진 엔바토
그 어떤 최고의 기능성 화장품이 이슈가 되어도 한여름 뷰티 베스트 셀러는 언제나 선크림이다. 이처럼 매해 여름마다 점차 증가하는 선크림 판매량은 피부에 좋은 성분을 듬뿍 주는 것만큼이나 나쁜 성분을 막는 것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증명해준다.
우리 피부의 ‘3대 적’은 무엇일까? 건조함과 영양 부족 그리고 자외선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로 자외선이다. 자외선은 기미는 물론 주름과 같은 피부 노화까지 불러온다. 이제껏 뜨거운 햇살이 내리쬐는 여름에만 선크림을 꺼내 들었다면, 지금부터는 자외선으로부터 내 피부를 사수하는 최고의 무기 ‘선크림’을 사계절 내내 생활화하자.
자외선 차단 지수, 높을수록 좋다?
자외선 차단제에는 저마다 다른 차단 지수가 숫자로 표기되어 있다. 수치로 표기할 수 있는 최대 자외선 차단지수는 50이며, 그 이상의 자외선 차단 지수는 ‘+’ 를 붙여 표기한다. 여기서 알아야 할 사실은 자외선 차단지수 즉, SPF가 50 이상으로 올라가도 차단 효과의 상승은 너무나 미미하다. 따라서 SPF 30이 피부를 손상시키는 자외선을 97% 차단한다면, SPF 50은 98%로 3%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SPF 50과 SPF 100의 차이는 겨우 1% 정도다. 그런데 소비자들은 숫자가 두 배로 높아지면 자외선 차단 효과가 두 배 높아진다는 오해를 할 수 있으므로 표시 제한을 둔 것이다. 그러니 어쩌다 SPF100이라 명시된 자외선 차단제를 발견해도 그 기능이 100% 완벽하다고 생각하고 구매할 필요는 없다.
자외선 차단 지수(SPF)란 무엇인가?
SPF를 정하는 기준은 어떤 제품이든 같다. 1cm²에 2mg의 양을 바른 후 홍반이 생기기 시작하는 시간을 측정해 SPF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지 않고 홍반이 생기는 걸 1이라고 한다면, SPF 30은 그 30배의 UVB를 쬐어야 홍반이 생기기 시작한다는 의미다. 실제로 이 정도 양을 얼굴 전체 면적에 바르려면 콩알 3개 분량인 700~900mg만큼 발라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 사람은 권장량의 25~50% 정도밖에 바르지 않는다. 게다가 아침에 한 번 바르고 온종일 덧바르지 않는다면 자외선 차단 효과는 떨어질 수밖에 없다. 화장품을 여러 가지 종류를 바르게 되므로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한 제품을 선택해 여러 겹 바르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한 가지 제품을 쓰더라도 알맞은 수치를 적당량 사용하는 것이다.
자외선 차단제, 언제 그리고 어떻게 발라야 효과적일까?
자외선의 종류로는 UVA, UVB, UVC 이렇게 세 가지가 있다. 이 중 UVC는 지구의 오존층에 흡수돼 우리에게 도달하지 않지만, UVA는 90% 이상을 차지한, 이에 관한 차단 지수가 PA다. 특히 UVA는 장파장으로 피부 진피층까지 도달하며, 일 년 내내 일정하게 방출되기 때문에 흐린 날과 비 오는 날도 방심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UVB는 햇볕이 강한 여름이나 높은 산 등에서 높아진다. 이 때문에, 자외선 차단제를 사계절 내내 사용하면 가장 좋지만, 여름철에는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한 제품을 생활화해야만 한다. 또한, 자외선 차단제를 여러 겹 바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무엇보다 한 가지 제품을 쓰더라도 알맞은 수치를 적당량 사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글 에스카사 편집부 / 사진 엔바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