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위를 식혀줄 가볍고 시원한 '린넨' 소재의 옷이 올여름의 패션 트랜드로 대세를 이루고 있다. ‘린넨’ 소재는 피부에 잘 달라붙지 않아 시원하고 바람이 잘 통하는 것이 최대 장점이다. 또한, 땀 흡수가 탁월하고 내열성이 우수하여 몸의 열이 잘 분산되기 때문에 여름용 의류 소재로 널리 이용되어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제 린넨은 베이직한 색상과 디자인에서 벗어나 화려한 프린트와 다양한 디자인의 의류로 제작되어, 소재에 대한 고정관념이 깨지는 추세다.
대프리카라고 불리는 이곳의 여름은 유난히 뜨겁다. 하지만 무더운 날씨만큼이나 패션에 민감한 대구이기에, 앵고에서 ‘더위도 잡고 패션도 잡는 린넨 의류 코디법'을 제안한다. 이제 여름을 대표하는 인기 소재로 자리 잡은 린넨을 이용한 셔츠, 원피스, 팬츠, 니트 등 린넨의 다양한 패션 아이템의 매력에 푹 빠져보자.
HOW TO WEAR?
린넨 소제는 가슬가슬하고 시원한 촉감 때문에 더위를 많이 타는 이들에게 만족도가 높은 아이템이다. 또한, 린넨 특유의 핏감이 주는 시크함에 또 한 번 반하게 될 것이다. 잔잔한 스트라이프 무늬의 린넨 니트는 어떤 팬츠에도 잘 어울린다. 누구나 한 벌 이상은 소장하고 있을 데님 아이템과 편하게 코디해보는 것은 어떨까?
또한, 올여름 유행 스타일 데님 팬츠는 앞면은 물론 허벅지 뒷면까지 마구 찢어진 과감한 트임이 돋보이는 디스트로이드 데님이 대세다. 이 과감한 디테일이 덕분에 입는 사람도 시원하지만 보는 사람도 함께 시원해진다. 여기에 유러피안 감성의 브랜드 '시크릿 크라운'의 LILIUM BK 선글라스로 시크한 느낌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켜 본다면, 스타일리시한 여름룩이 완성된다. 특히 블랙 색상의 선글라스는 언제 써도 부담없이 매치하기 좋다.
클로징이 가능한 여러 개의 버튼 장식이 더해진 린넨 티셔츠에 톤다운 된 오랜지와 그레이 컬러의 스트라이프 린넨 랩스커트를 골드 컬러의 투 브릿지 디자인으로 세련되고 멋스러운 LILIUM 시리즈인 '시크릿 크라운'의 LILIUM PK컬러 선글라스와 함께 코디하면 여성스러운 느낌이 한층 더 돋보인다. 강렬하게 내리쬐는 햇볕 때문에 외출 전 선글라스를 가장 먼저 챙기게 되는 요즘, 가벼운 착용감과 편안한 시야로 강력 추천하고 싶은 아이템이다. 더 많은 시크릿 크라운의 선글라스를 앵고에서 만나볼 수 있다.
HOW TO WASH?
시원하고 예쁜 린넨 제품 오래오래 입기
린넨 소재의 옷은 시원해서 여름에 자주 찾게 되지만, 주름이나 오염에 약해서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고민이다. 이제 올바른 린넨 세탁법과 관리법을 알아보고 예쁜 린넨 소재의 옷을 더 오랫동안 예쁘게 입어보자.
대부분의 린넨 섬유는 물세탁이 가능하지만, 옷에 따라서 세탁기를 사용할 수 있는 때도 있고 꼭 드라이클리닝을 해야만 하는 때도 있다. 옷 안쪽에 라벨 또는 태그를 확인한 후에 세탁해야 옷을 망가트리지 않고 오래 입을 수 있다. 먼저 손세탁 시에는 30도 이하의 물에서 중성 세제나 울 샴푸를 사용해서 세탁해 준다. 더 높은 온도의 물에서 빨면 옷 변형이 심해지니 주의할 것. 세탁기 사용 시에는 옷감 수축이 일어날 수 있으니 꼭 빨래 망에 꼭 넣어 세탁해야 한다. 그리고 린넨 소재는 물 빠짐이 있을 수 있으니, 단독 세탁을 하는 것이 더 좋다. 섬유 유연제를 사용하게 되면 섬유에서 나오는 가루인 '잔사'가 생길 수 있다고 하니, 사용 전 꼭 확인하자.
세탁을 마쳤다면, 옷을 말리는 것도 형태변형 방지를 위해 중요한 코스다. 옷을 공중에 털어, 주름을 편 상태로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 말리자. 이때 햇볕에 노출되면 변색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할 것. 또한, 건조기나 탈수기능을 이용할 시 변형이 될 수 있으니 사용을 최대한 자제하도록 하자. 조금 더 예쁜 핏을 위해 다리미질을 할 때는 200~230도 정도로 온도를 조절한 후, 꼭 얇은 천을 덧대고 다림질을 하자. 다리미가 없다면 습기 찬 욕실에 걸어두거나 분부기로 물을 뿌려 구김을 펴주는 것도 린넨 소재의 옷을 더 예쁘게 관리하는 간편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글/기획 앵고 [대구 수성구 중동 391-8]
시크릿 크라운 [www.secretcrown.co.kr]
정리 S.CASA 편집부
더위를 식혀줄 가볍고 시원한 '린넨' 소재의 옷이 올여름의 패션 트랜드로 대세를 이루고 있다. ‘린넨’ 소재는 피부에 잘 달라붙지 않아 시원하고 바람이 잘 통하는 것이 최대 장점이다. 또한, 땀 흡수가 탁월하고 내열성이 우수하여 몸의 열이 잘 분산되기 때문에 여름용 의류 소재로 널리 이용되어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되고 있다. 이제 린넨은 베이직한 색상과 디자인에서 벗어나 화려한 프린트와 다양한 디자인의 의류로 제작되어, 소재에 대한 고정관념이 깨지는 추세다.
대프리카라고 불리는 이곳의 여름은 유난히 뜨겁다. 하지만 무더운 날씨만큼이나 패션에 민감한 대구이기에, 앵고에서 ‘더위도 잡고 패션도 잡는 린넨 의류 코디법'을 제안한다. 이제 여름을 대표하는 인기 소재로 자리 잡은 린넨을 이용한 셔츠, 원피스, 팬츠, 니트 등 린넨의 다양한 패션 아이템의 매력에 푹 빠져보자.
HOW TO WEAR?
린넨 소제는 가슬가슬하고 시원한 촉감 때문에 더위를 많이 타는 이들에게 만족도가 높은 아이템이다. 또한, 린넨 특유의 핏감이 주는 시크함에 또 한 번 반하게 될 것이다. 잔잔한 스트라이프 무늬의 린넨 니트는 어떤 팬츠에도 잘 어울린다. 누구나 한 벌 이상은 소장하고 있을 데님 아이템과 편하게 코디해보는 것은 어떨까?
또한, 올여름 유행 스타일 데님 팬츠는 앞면은 물론 허벅지 뒷면까지 마구 찢어진 과감한 트임이 돋보이는 디스트로이드 데님이 대세다. 이 과감한 디테일이 덕분에 입는 사람도 시원하지만 보는 사람도 함께 시원해진다. 여기에 유러피안 감성의 브랜드 '시크릿 크라운'의 LILIUM BK 선글라스로 시크한 느낌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켜 본다면, 스타일리시한 여름룩이 완성된다. 특히 블랙 색상의 선글라스는 언제 써도 부담없이 매치하기 좋다.
클로징이 가능한 여러 개의 버튼 장식이 더해진 린넨 티셔츠에 톤다운 된 오랜지와 그레이 컬러의 스트라이프 린넨 랩스커트를 골드 컬러의 투 브릿지 디자인으로 세련되고 멋스러운 LILIUM 시리즈인 '시크릿 크라운'의 LILIUM PK컬러 선글라스와 함께 코디하면 여성스러운 느낌이 한층 더 돋보인다. 강렬하게 내리쬐는 햇볕 때문에 외출 전 선글라스를 가장 먼저 챙기게 되는 요즘, 가벼운 착용감과 편안한 시야로 강력 추천하고 싶은 아이템이다. 더 많은 시크릿 크라운의 선글라스를 앵고에서 만나볼 수 있다.
HOW TO WASH?
시원하고 예쁜 린넨 제품 오래오래 입기
린넨 소재의 옷은 시원해서 여름에 자주 찾게 되지만, 주름이나 오염에 약해서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고민이다. 이제 올바른 린넨 세탁법과 관리법을 알아보고 예쁜 린넨 소재의 옷을 더 오랫동안 예쁘게 입어보자.
대부분의 린넨 섬유는 물세탁이 가능하지만, 옷에 따라서 세탁기를 사용할 수 있는 때도 있고 꼭 드라이클리닝을 해야만 하는 때도 있다. 옷 안쪽에 라벨 또는 태그를 확인한 후에 세탁해야 옷을 망가트리지 않고 오래 입을 수 있다. 먼저 손세탁 시에는 30도 이하의 물에서 중성 세제나 울 샴푸를 사용해서 세탁해 준다. 더 높은 온도의 물에서 빨면 옷 변형이 심해지니 주의할 것. 세탁기 사용 시에는 옷감 수축이 일어날 수 있으니 꼭 빨래 망에 꼭 넣어 세탁해야 한다. 그리고 린넨 소재는 물 빠짐이 있을 수 있으니, 단독 세탁을 하는 것이 더 좋다. 섬유 유연제를 사용하게 되면 섬유에서 나오는 가루인 '잔사'가 생길 수 있다고 하니, 사용 전 꼭 확인하자.
세탁을 마쳤다면, 옷을 말리는 것도 형태변형 방지를 위해 중요한 코스다. 옷을 공중에 털어, 주름을 편 상태로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 말리자. 이때 햇볕에 노출되면 변색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할 것. 또한, 건조기나 탈수기능을 이용할 시 변형이 될 수 있으니 사용을 최대한 자제하도록 하자. 조금 더 예쁜 핏을 위해 다리미질을 할 때는 200~230도 정도로 온도를 조절한 후, 꼭 얇은 천을 덧대고 다림질을 하자. 다리미가 없다면 습기 찬 욕실에 걸어두거나 분부기로 물을 뿌려 구김을 펴주는 것도 린넨 소재의 옷을 더 예쁘게 관리하는 간편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글/기획 앵고 [대구 수성구 중동 391-8]
시크릿 크라운 [www.secretcrown.co.kr]
정리 S.CASA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