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 사이 국내 카페, 음식점, 영화관 등 다양한 공공장소에서 ‘노키즈존(No Kids Zone)’이 확산되며 사회적 논란이 커지고 있다. 노키즈존이란 일정 연령 이하의 아동의 출입을 제한하는 공간을 뜻한다. 이를 둘러싼 찬반 논쟁이 거세지만, 아동과 보호자에 대한 명백한 차별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날로 커지고 있다.

노키즈존의 배경 — 누구를 위한 조치인가?
노키즈존은 주로 일부 부모의 부주의나 소음 문제를 이유로 도입되었다. 일부 업주들은 아동의 울음소리, 기물 파손, 손님과의 마찰 등을 피하고자 아예 출입을 금지하는 방식을 택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단지 일부 사례를 일반화하며, 아동 전체와 그 가족을 불편 요소로 간주하는 매우 편협한 접근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이 같은 조치는 육아를 하는 부모들에게 사회적 소외감을 안기며, ‘아이를 데리고 다니면 눈치보인다’는 분위기를 강화시킨다. 이는 곧 돌봄의 책임을 사회가 함께 지는 구조에서 멀어지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노키즈존은 차별이다
노키즈존에 대한 가장 큰 비판은 바로 인권 침해 소지다.
아동은 사회 구성원이며, 나이에 관계없이 공공장소를 이용할 권리가 있다.
보호자가 함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어린이’라는 이유로 출입을 막는 것은 차별이다.
특히 발달장애 아동, 사회 적응을 배우는 중인 아이들에게는 더욱 부당한 배제다.
대한아동학회, 아동인권위원회 등도 노키즈존의 확산이 아이에 대한 사회적 배제를 정당화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사례: 발달장애 아들을 둔 박지현(가명) 씨는 가족 외식 중 노키즈존이라는 안내 문구를 보며 입장을 거부당했다. 박 씨는 "우리 아이는 말은 느리지만 조용히 잘 앉아 있는 편인데, 아이 얼굴만 보고 무조건 안 된다고 하더라"며 "마치 범죄자처럼 느껴졌다"고 호소했다.
해외의 사례는?
해외에서는 아동의 출입 자체를 막기보다는 공존을 위한 시스템 마련에 초점을 맞춘다.
미국, 유럽 등은 조용한 공간에서는 별도의 아동 공간을 마련하거나, 소음 차단 시설을 갖추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일본의 일부 온천과 전통 다다미 식당에서는 아동 출입을 제한하기도 하지만, 이 역시 명확한 사전 안내와 대체 공간 마련 등을 통해 공정성을 확보한다.
그에 반해 한국은 노키즈존이 ‘사전 예고 없는 배제’나 ‘전면 출입 금지’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 더욱 비판받고 있다.
무엇이 진짜 해법인가?
노키즈존 논란은 ‘아이를 싫어하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다양성과 포용성에 대한 사회적 태도를 묻는 문제다.
문제를 일으킨 일부 사례가 있다고 해서 전체 아동과 가족을 배제하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다.
오히려 아동이 공공장소에서 예절을 배우고, 사회적 존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환경이 필요하다.
공공장소에서의 갈등은 성인 간에도 존재한다. 소란스러운 어른, 예절 없는 손님도 많은데, 이들을 대상으로 한 ‘노매너존’은 없다. 그렇다면 왜 아이들만 출입을 금지당해야 할까?
전문가 인터뷰: 김하윤 아동심리전문가는 “노키즈존은 사회가 아이에게 ‘넌 아직 사회 구성원이 아니다’라는 메시지를 주는 셈”이라며, “아동이 사회성을 기를 기회를 빼앗는 것 자체가 공동체 전체의 손해”라고 강조했다.
노키즈존은 단순한 영업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아동과 부모에 대한 편견과 배제가 구조적으로 드러나는 사회적 현상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아이를 배제하는 공간이 아니라, 아이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포용적 공간이다. 불편을 이유로 차별을 정당화하는 사회는 성숙한 사회가 아니다. 아이들도 우리 사회의 소중한 구성원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모두가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할 때다.
글 에스카사 편집부
최근 몇 년 사이 국내 카페, 음식점, 영화관 등 다양한 공공장소에서 ‘노키즈존(No Kids Zone)’이 확산되며 사회적 논란이 커지고 있다. 노키즈존이란 일정 연령 이하의 아동의 출입을 제한하는 공간을 뜻한다. 이를 둘러싼 찬반 논쟁이 거세지만, 아동과 보호자에 대한 명백한 차별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날로 커지고 있다.
노키즈존의 배경 — 누구를 위한 조치인가?
노키즈존은 주로 일부 부모의 부주의나 소음 문제를 이유로 도입되었다. 일부 업주들은 아동의 울음소리, 기물 파손, 손님과의 마찰 등을 피하고자 아예 출입을 금지하는 방식을 택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단지 일부 사례를 일반화하며, 아동 전체와 그 가족을 불편 요소로 간주하는 매우 편협한 접근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이 같은 조치는 육아를 하는 부모들에게 사회적 소외감을 안기며, ‘아이를 데리고 다니면 눈치보인다’는 분위기를 강화시킨다. 이는 곧 돌봄의 책임을 사회가 함께 지는 구조에서 멀어지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노키즈존은 차별이다
노키즈존에 대한 가장 큰 비판은 바로 인권 침해 소지다.
아동은 사회 구성원이며, 나이에 관계없이 공공장소를 이용할 권리가 있다.
보호자가 함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어린이’라는 이유로 출입을 막는 것은 차별이다.
특히 발달장애 아동, 사회 적응을 배우는 중인 아이들에게는 더욱 부당한 배제다.
대한아동학회, 아동인권위원회 등도 노키즈존의 확산이 아이에 대한 사회적 배제를 정당화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사례: 발달장애 아들을 둔 박지현(가명) 씨는 가족 외식 중 노키즈존이라는 안내 문구를 보며 입장을 거부당했다. 박 씨는 "우리 아이는 말은 느리지만 조용히 잘 앉아 있는 편인데, 아이 얼굴만 보고 무조건 안 된다고 하더라"며 "마치 범죄자처럼 느껴졌다"고 호소했다.
해외의 사례는?
해외에서는 아동의 출입 자체를 막기보다는 공존을 위한 시스템 마련에 초점을 맞춘다.
미국, 유럽 등은 조용한 공간에서는 별도의 아동 공간을 마련하거나, 소음 차단 시설을 갖추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일본의 일부 온천과 전통 다다미 식당에서는 아동 출입을 제한하기도 하지만, 이 역시 명확한 사전 안내와 대체 공간 마련 등을 통해 공정성을 확보한다.
그에 반해 한국은 노키즈존이 ‘사전 예고 없는 배제’나 ‘전면 출입 금지’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 더욱 비판받고 있다.
무엇이 진짜 해법인가?
노키즈존 논란은 ‘아이를 싫어하느냐 마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다양성과 포용성에 대한 사회적 태도를 묻는 문제다.
문제를 일으킨 일부 사례가 있다고 해서 전체 아동과 가족을 배제하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다.
오히려 아동이 공공장소에서 예절을 배우고, 사회적 존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환경이 필요하다.
공공장소에서의 갈등은 성인 간에도 존재한다. 소란스러운 어른, 예절 없는 손님도 많은데, 이들을 대상으로 한 ‘노매너존’은 없다. 그렇다면 왜 아이들만 출입을 금지당해야 할까?
전문가 인터뷰: 김하윤 아동심리전문가는 “노키즈존은 사회가 아이에게 ‘넌 아직 사회 구성원이 아니다’라는 메시지를 주는 셈”이라며, “아동이 사회성을 기를 기회를 빼앗는 것 자체가 공동체 전체의 손해”라고 강조했다.
노키즈존은 단순한 영업 선택의 문제가 아니다. 이는 아동과 부모에 대한 편견과 배제가 구조적으로 드러나는 사회적 현상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아이를 배제하는 공간이 아니라, 아이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포용적 공간이다. 불편을 이유로 차별을 정당화하는 사회는 성숙한 사회가 아니다. 아이들도 우리 사회의 소중한 구성원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모두가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할 때다.
글 에스카사 편집부